앱의 Android 9 Pie(이하 파이) 마이그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제조사별로 플래그쉽 모델들을 필두로 파이로 출시되거나 파이로 업그레이드된 바이너리가 계속 배포되고 있습니다.
작년 겨울부터 적어야겠다고 생각만 하다가 주변에 조금씩 파이 폰이 보이고 나서야 갑자기 생각나서 "파이 마이그레이션"에 대해서 적고 있습니다.
[마이그레이션이 필요한 앱]
모든 앱이 마이그레이션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파이 업그레이드된 폰에서 앱이 잘 돌아간다면 굳이 해줄 필요는 없습니다.
보통 제조사에서 안드로이드 OS 업그레이드를 하면 사용자 데이터와 앱은 그대로 두고 안드로이드만 상위 버전으로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안드로이드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프리로드되어 있는 제조사나 통신사의 앱들은 마이그레이션된 상태일 것입니다.
구글 Play에서 다운로드한 앱들 중에도 오류가 나는 것이 있고, 오류가 없는 것도 있을 것입니다.
오류가 없는 앱은 그냥 두면 됩니다. 마이그레이션이 필요한 앱은 안드로이드 업그레이드 이후 오류가 발생하는 앱입니다.
[마이그레이션 과정]
오류가 발생해서 마이그레이션이 필요한 앱은 두 가지 부류로 나눠집니다.
1. 파이 플랫폼의 API 사용 없이 기존 API로 오류가 수정 가능한 경우
ⓒGoogle
(targetSdkVersion 변경 x)
(구글 Play 등록, 배포 등등)
2. 파이 플랫폼의 API 사용해야 오류가 수정 가능한 경우 (targetSdkVersion을 28로 변경 필요하다는 의미)
ⓒGoogle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버전을 3.1이상으로 업데이트 후 파이 SDK를 다운로드.
- targetSdkVersion 28로 변경
- 신규 백그라운드 제한 이슈 수정
- 수정된 소스 반영 후 다시 빌드
- 백그라운드 제한 경로 및 파이 변경사항에 포커스를 맞춰 검증.
(구글 Play 등록, 배포 등등)
결론
1. 파이 단말에 앱이 잘 돌아가면 그대로 두면 됩니다.
2. 파이 단말에 앱이 문제가 있지만, 상위 API 버전으로 변경이 필요 없이 수정 가능하면 해당 문제를 수정 후 재배포합니다.
3. 파이 단말에 앱이 문제가 있고, 상위 API 버전으로 변경이 되어야 수정할 수 있다면, targetSdkVersion을 28로 변경 후 해당 문제를 수정 후 재배포합니다.
위의 1, 2의 경우 구글 Play에 배포되는 앱이 아닌 경우에 해당합니다. 구글 Play에 배포되는 앱의 경우 파이 단말에서 앱이 잘 돌아가더라도 3의 경우처럼 targetSdkVersion을 28로 변경해주셔야 합니다.
현재(2019년 4월 19일) 구글 Play에 신규 앱 및 업데이트 필요한 앱의 경우 targetSdkVersion은 26 이상 되어야 하지만, 2019년 8월 1일부터는 신규 앱의 경우 targetSdkVersion은 28 이상이고, 2019년 11월 1일부터는 업데이트 필요한 앱의 경우에도 targetSdkVersion을 28 이상으로 변경해주어야합니다.
(관련 링크: https://support.google.com/googleplay/android-developer/answer/113469?hl=ko#targetsdk)
이번 글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Android Dev > Compatibil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values-mcc 의미 및 활용 (mnc 포함) (0) | 2019.12.31 |
---|---|
안드로이드 플랫폼 스트링(다국어 지원) 사용하기 (1) | 2018.12.10 |
Google Play에 등록한 앱이 특정 기기에서 검색되지 않는 이유 및 해결방법 (3) | 2018.10.20 |
안드로이드 다국어 지원 (support multiple language in android) - Translations Editor 사용법 포함 (0) | 2018.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