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Simple& Happy Dev입니다.

 

이번 글은 Bugreport와 Sysdump 사용방법에 대해서 적어보겠습니다.

 

먼저 Bugreport와 Sysdump는 시스템, 프레임워크, 앱 등의 여러 컴포넌트에 발생한 오류나 오동작에 대해서 향후 분석을 위해서 시스템의 상태나 로그, 기타 정보들을 기록하는 역할을 합니다.

 

문제에 대한 재현 경로가 확실한 경우에는 상관없지만, 문제 재현이 어려운 경우에는 Bugreport나 Sysdump에 의존해서 분석을 해야 합니다.

 

Sysdump는 삼성에서 Bugreport를 커스터마이징한 것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또한, 삼성 폰에서도 Bugreport를 지원합니다.

 

그럼, 각각의 사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Bugreport]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debug/bug-report

 

위 링크에설명이 있습니다만, 좀 더 자세하게 실제 폰의 스크린샷 첨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Bugreport의 경우 개발자 옵션 메뉴에 있습니다.

(개발자 옵션 메뉴가 안 보이면, 설정 - 소프트웨어 정보 - 빌드번호 7번 누름)

 

개발자 옵션 - 전원 버튼 메뉴에 버그 신고 포함 (On)

 

 - 이렇게 설정한 상태에서 테스트하다가 오류 등이 발생할 경우 전원(Power)키를 누르면 아래와 하단에 "버그 보고서 작성" 버튼이 나오는데, 눌러주면 Bugreport가 동작합니다. (1)

 - Bugreport가 동작하게 되면 산출물을 생성하면서 알림창에 진행 상황이 표시됩니다. (2)

 - Bugreport 알림창에서 (v)를 누르면 메뉴가 표시됩니다. (3)

 - 메뉴에서 세부정보를 누르면 파일명과 버그의 제목과 요약을 적어 넣을 수 있는 창이 나옵니다. (4)

 - Bugreport 진행 상황이 완료가 되면, 알림창을 눌러서 공유할 수 있습니다. (5)

 

  

 

 

 

저장된 Bugreport는 "bugreport-생성일자.txt" 파일이 LOCAT 및 각종 정보들을 포함한 주요 분석 대상입니다.

 

[Sysdump]

전화 앱의 다이얼화면에서 키스트링으로 Sysdump 진입할 수 있습니다.

*#9900#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메뉴가 많아서 스크롤하면 추가로 더 보입니다.

 

주의: 혹 아래 앱 개발자가 사용하는 2가지 외에 다른 부분을 건드리고자 하면 먼저 Sysdump의 초기 메뉴값을 스크린샷으로 남겨두시길 바랍니다. 나중에 상태를 변경하고나서 초기 상태로 돌리지 않고 계속 유지하게 되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 메뉴의 설정이 적용되려면 재부팅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앱을 테스트하기 전에 /log 디렉터리를 삭제하고, DELETE DUMPSTATE/LOGCAT을 누른 이후에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앱 개발자의 경우 ①, ② 순서대로 눌러주시면 됩니다.

RUN DUMPSTATE/LOGCAT => COPY TO SDCARD(INCLUDE CP RAMDUMP)

 

실행 시 산출물이 덤프된 상태로 존재합니다. 아직 파일 저장 전입니다. 

실행 시 폰 내부 저장 공간에 파일로 저장됩니다.

 

파일로 생성된 산출물은 /log 디렉터리에 생성됩니다.

 

"dumpState_버전명_생성일자.log" 파일이 Bugreport의 형식과 유사한 산출물이고 주요 분석대상입니다.

 

그 외에 산출물들은 단말 플랫폼 개발 시 필요한 부분이 많고, 앱 개발자에게 필요한 부분은 거의 없습니다.

 

기타 메뉴에 대한 설명

RUM DUMPSTATE/LOGCAT/MODEM LOG : 의 산출물 + CP(MODEM) 정보, 산출물이 파일로 바로 저장됩니다.

 

DELETE DUMPSTATE/LOGCAT현재 덤프된 산출물을 삭제합니다.

 

COPY TO EXTERNAL SDCARD(INCLUDE CP RAMDUMP) : 산출물을 외부 SDCARD에 파일로 저장합니다.

 

DEBUG LEVEL ENABLED : 초기값은 MID, DEBUG LEVEL을 설정합니다. (MID / LOW 선택) 설정 변경 시 재부팅됩니다.

 

TRANSLATION ASSISTANT : 초기값은 OFF, 활성화 시 HierachyViewer에 추가 정보가 나옵니다. 미확인 상태입니다.

 

CP RAM LOGGING : 초기값은 OFF, CP 로깅 관련한 것인데, 누르면 재부팅됩니다.

                             앱 개발자와 관련되는 부분이 아니기에 건드리지 않는게 좋습니다.

 

ENABLE SECLOG : 초기값은 DISABLE, 삼성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로그에 대한 출력 여부 설정입니다.

                            활성화 전에 나오지 않던 일부 로그가 출력됩니다. 일반적으로 앱 개발자에게는 의미가 없습니다.
                            팝업에 개인정보가 나올 수 있다고 하니 건드리지 않는 게 좋습니다. 변경 시 재부팅 해야 적용됩니다.

 

NOTIBAR RUN DUMPSTATE : 초기값은 OFF, 활성화 시 Bugreport 처럼 알림창에서 누르면 DUMPSTATE/LOGCAT/CP

                                           산출물이 덤프 됩니다. 실행 시 log 폴더에 파일들로 저장됩니다.

 

MEDIA DB DUMP : Media DB를 덤프합니다.  실행시 log 폴더에 MediaDbDump_?.tar.gz 이름으로 압축해서 저장됩니다.

 

CP(MODEM) 관련해서는 건드리지 않는 게 좋습니다. 여기에 있는 메뉴들은 외부 앱 개발자를 위한 것보다는 폰을 개발하면서 디버깅이나 양산 이후 단말에 대한 분석을 위한 목적이기에 앞서 주의에도 언급했지만, 초기값과 다르게 변경해서 유지할 경우에 폰이 최적의 상태가 아니라서 성능이나 소모전류에 미세한 영향을 줄 수가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